카테고리 없음

Halide Perovskite 간단 정리

Gruby! 2023. 6. 17. 23:48
반응형

Halide Perovskite 간단 정리


PerovskiteCalciumtitanate (CaTiO3) 광물군의 구조이다. 화학식으로는 ABX3 이며, 서로 다른 크기의 A, B 금속 양이온과 X 음이온 (산소 혹은 할라이드)에 의해서 결합된다. BX로 구성된 [BX3]- 의 정팔면체들 간에 평면과 수직 방향으로 음이온을 공유하고, A 양이온이 그 사이 공간에 위치한다.

halide perovskite 구조
halide perovskite 구조

 조성에 따라서, 산화물 페로브스카이트(Oxide perovskite), 할라이드 페로브스카이트 (Halide perovskite)로 나뉜다. 입방 형태(Cubic) 를 위해 구성 이온들 간의 크기 비가 매우 중요하다. 이는 tolerance facore 에 의해서 예측할 수 있다. 보통 0.85 < t < 1.11 의 값을 가진다. A 양이온으로 주로 Methylammonium(CH3NH3+, MA), Formanidinium (NH2CHNH2+,FA), CS 를 사용하고, B 양이온으로 Pb2+, Sn2+ 를 이용한다. 할라이드 페로브스카이트는 다양한 형태 제작이 가능하고, 전구체 이온염을 혼합함으로 조성 조절이 용이하다. 조성, 구조를 변화시키며 특성 변화를 유도할 수 있다.

 

PeLED(Perovskite LED)는 저온 용액공정으로 생산 단가가 낮으므로, 가격 경쟁력이 높다. 또한, 20nm 이하의 낮은 반치폭(FWHM), 높은 색순도를 통해 넓은 색을 표현할 수 있다. 쉬운 합성 방법과 파장 제어가 용이하며, 종래 유기 발광 소자와 유사한 구조를 가진다.

반응형